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6)
총 자산 중 '거주용 부동산'의 적당한 비율은? (한국 부자 기준) ■ 총 자산 중 '거주용 부동산'의 적당한 비율은? "총 자산 중 '거주용 부동산'의 금액은 얼마가 적당할까?"에 대한 고민이 생겼다. 우리도 더 큰 집에 살고 싶고, 더 새 집에 살고 싶고, 더 편리한 곳에 살고 싶고, 더 좋은 학군에 살고 싶은 욕구가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마냥 그 욕구대로 따를 수가 없다. 우리의 총 자산 대비 '거주용 부동산'의 비율이 너무 커진다면 '투자용 자산'의 비율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렇게 투자 여력이 줄어들면 현금 창출 여력이 줄어들 것이다. 게다가 대출을 받았다면 대출원리금을 상환하는 게 부담이 될 것이다. 그렇다고 마냥 이 작은 집에서만 살고 싶지는 않다. 그렇다면 총 자산 중 '거주용 부동산'의 비율이 얼마이면 적당할까? ■ 한국 부자들의 자산 유형별 구성비 ..
2022년 3인 가족 월평균 생활비, 우리 가족의 노후 준비는? 1. 월평균 생활비 지출 구분 내용(비중 순) 금액 고정지출 통신/관리비, 효도비, 보험료, 자산취득비, 세금 964,878원 변동지출 식비/생필품비, 외식비, 교육비, 의류/화장품비, 교통/주유비, 의료비, 선물비 1,584,391원 2,549,269원 2022년 동안 엑셀로 가계부를 썼다. 이를 통해 2022년 월평균 생활비를 집계할 수 있었다. 참고로 우리는 3인 가족이고 아이는 미취학 아동이다. 월평균 생활비는 약 255만 원이었다. 고정지출은 약 96만 원, 변동지출은 약 158만 원이었다. 가장 상위 지출 항목 3가지는 식비/생필품비, 통신/관리비, 효도비였다. 2. 노후 준비와 현금 창출 1단계는 바로 나와 내 가족에 대한 경제적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 것 즉, 노후 준비다. 많은 이가 막연히..
인플레이션의 종류, 소비자물가지수(CPI), 연준의 정책 1. 인플레이션의 종류 내용 영향력 1)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경제 호황과 함께 부족한 상품을 사기 위한 현금이 넘쳐날 때 발생 그나마 해결하기 쉬운 편임 2)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유가 상승이나 가뭄으로 인한 식품 가격 상승처럼 공급 감소로 인해 발생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상처도 대단히 커서 연준이 종종 욕을 많이 먹음 3) 임금 인플레이션 대개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과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의 압력 때문에 발생 천천히 모습을 드러내지만 위험도가 가장 높음 2.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지표 1)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 2) 생산자물가지수(PPI, Producer Price Index) 3) 고용비용지수(ECI, Employment Cost Index) 3. 소비자물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