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플레이션의 종류
내용 | 영향력 | |
1)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 경제 호황과 함께 부족한 상품을 사기 위한 현금이 넘쳐날 때 발생 | 그나마 해결하기 쉬운 편임 |
2)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 유가 상승이나 가뭄으로 인한 식품 가격 상승처럼 공급 감소로 인해 발생 |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상처도 대단히 커서 연준이 종종 욕을 많이 먹음 |
3) 임금 인플레이션 | 대개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과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의 압력 때문에 발생 | 천천히 모습을 드러내지만 위험도가 가장 높음 |
2.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지표
1)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
2) 생산자물가지수(PPI, Producer Price Index)
3) 고용비용지수(ECI, Employment Cost Index)
3. 소비자물가지수(CPI)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현재 경제 상황이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또는 스태그플레이션인지 판단하는 지표이다. 이 지수는 미국 연준, 은행, 기업들이 의사결정을 하는데 중요한 지표이다. 매월 미국 노동통계국에서 발표한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종류 | |
일반 소비자물가지수 CPI | 일반적인 물가지수 |
핵심 소비자물가지수 Core CPI | 일반 소비자물가지수에서 변동성이 높은 음식료와 에너지를 차감해 계산한 물가지표, 단기적 변동성이 높은 에너지와 식음료 섹터를 제거해 인플레이션 추세를 장기적으로 파악 |
↓ 소비자물가지수(CPI)를 확인할 수 있는 미국 노동통계국 사이트
CPI Home :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gov)
4. 연준의 정책
정부의 인플레이션을 잡는 방법 | 내용 |
공급 증가 | 증설, 양산, 생산량 증가까지 장시간 소요 ex) 자동차용 반도체 |
수요 감소 | - 식용유 대란 때, 1인 1병으로 구매 제한 - 부동산 규제 - 금리 인상으로 대출 규제, 소비와 투자 여력 감소 |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연준이 필요 이상의 '수요 감소' 정책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샤워실의 바보'의 개념처럼 경기 침체에 이어 오히려 디플레이션이 야기될 수 있다. 디플레이션을 겪은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일본이다. 디플레이션 상황에서는 1) 원금을 보장받고 이자도 받을 수 있는 예금과 채권, 2) 인플레이션으로 갈 수 있는 성장 국가, 3) 자산을 방어할 수 있는 금에 투자할 수 있다.
* 참고자료
[책] 채권투자 핵심 노하우, 마경환
[책] 브라질에 비가 내리면 스타벅스 주식을 사라, 피터 나바로
[유튜브] 오히려 내년에는 디플레이션을 대비하세요, 전인구경제연구소, 2022-09-12